소비하고 생상하는 이야기를 바꾸면 자아를 바꿀수 있다.

  • 현재의 뇌는 과거의 자극으로 형성됨.
  • 미래를 예측할 때는 과거의 기록 (경험, 상상) 이 영향을 미침.

같은 물리적 현상도 사람마다 지각하는 것이 다름.

  • 자동차 사고 같은 극단정 상황은 높은 각성 상태를 초래하여 지각과 기억에 뚜렷한 영향을 미침.
  • 각성 상태가 높으면, 객관적인 지각이 아니라 주관적인 지각이 지배하게 됨.
  • 전혀 다르게 사건을 기억하는 일이 발생함.

뇌의 확증 편향

  • 맞은 것은 기억하고 틀린 것은 잊어버림.
  • 선입견에 맞지 않는 현실을 인식하는데는 2가지 선택이 존재함.
    • 선입견을 포기하거나, 현실을 왜곡하거나
    • 선입견에 안맞는 현실은 기억하지 못하거나, 왜곡되기 쉬움.
  • 서사가 없는 사건들의 사이를 메꾸어 서사를 만듬.
    • 루틴이나 미신은 성공시 유지되고 실패시 변경됨.

집단을 따르는 뇌

  • 청소년들에게 음악을 들려주고 선호도를 평가하게 함.
  • 그러고 나서 인기도를 보여주면, 기존의 선호도와 상반되는 경우, 80%가 평가를 바꿈.
  • 평가와 인기도가 같을 때 뇌에서 가장 큰 보상 활동이 일어남.
  • 평가와 인기도가 다를 때, 통증 반응이 일어남.
  • 대중의 의견에 따르지 않을 때, 전두엽을 더 활용하여 판단함.

자아

  • 자아의 모습은 대체로 비슷하며, 외부에서 들어온 이야기로 채워짐.
  • 누구의 말을 듣고, 어떤 책을 읽고, 어떤 미디어를 볼지에 따라 자아는 다르게 형성됨.
  • 책을 읽으며 등장인물들을 시뮬레이션 하며 감정을 간접 경험함으로서 뇌신경이 변화함.

자아를 개선하는 방법

  • 되고 싶은 자아상을 구체화한다.
  • 예를 들어, 나의 복제 인간이 지금 어떤 모습이고, 미래에 어떻게 변하면 좋을지 구체적으로 상상해본다.
  • 변화는 가능하지만 실천하기 어렵다.
    • 가진 것을 잃을까 하는 두려움,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현재의 뇌가 불러일으키는 착각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