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main content 본인과 타인의 기준을 다르게 인식함.
- 미국 서베이 1: 자신은 부, 지위, 권력이 인생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답변한 반면, 다른 사람들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할거라고 답변함.
- 미국 서베이 2: 자신은 여성 정치인을 뽑을 의향이 있지만, 선거에서 당선될 확률은 적다고 답변함.
copy cat trap: 정보가 없을때, 타인을 모방함.
- 미국에서 신장 대기자들이, 선순위 대기자들이 거부한 신장을 연속적으로 거부하여 신장이 버려지는 경우 발생함.
- 다른 사람이 거부하였으므로 하자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.
- 거부한 이유를 공유하여 버려지는 경우를 줄임.
- 나보다 다른 사람이 더 잘 알거라고 믿는 경향성이 있으며, 태도가 당당할 경우 더 신뢰함.
- 해결책: 왜? 라는 질문은 copy cat trap 에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.
귀속 집단과 나는 동일시 된다.
- MRI 로 촬영 시, 귀속집단에 대해 이야기할때 활성되는 부위가 나에 대해 이야기할때 활성되는 부위였음.
- 귀속 집단의 집단적 관점을 받아들이고 난 뒤, 논리를 생성해냄 (선결정, 후논리).
- 귀속 집단의 경쟁자가 패배하면 즐거움을 느낌.
- 해결책: 다양한 집단에 속하면 정체성 함정에서 빠져나올수 있다.
타인들의 판단에 민감하다.
- 집단에서 추방 당한 사람들은 혈압과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가 높았다.
- 집단과 의견이 다르면, 실수했다고 생각할때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이 활성화된다.
- 에모리 대학 연구: 집단에 순응한 사람들의 뇌의 시각 시스템에서는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 현실을 왜곡해서 인지하였다.
- 다수의 의견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시점에도, 혹은 방해가 될때도 의식을 하는 경향성이 있다.
- 해결책: 집단과 의견이 다르더라도 이야기 할수 있는 용기를 길러야함.
타인들의 욕망을 욕망한다.
- 내가 원하지 않아도, 다른 사람들이 원한다는 것을 인지하면, 나도 원하는 것처럼 느끼고 행동한다.
- 관습은 어떤 집단에 속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교육되고 학습된다 (e.g. 상류 사회의 식사 예절)
- 사회적 규범은 인지적 부하를 낮춰서 뇌가 에너지를 덜 소모하게 도와줌.
- 현실 감각을 왜곡하면서까지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경우도 보고됨.
- 해결책: 구멍에 빠져있다면 삽질을 멈춰야 하며, 정말 내가 원하는 것인지 자문해야함.